원고 투고 요강
한국사회과수업학회 학회지 게재원고 투고 요강
1. 일반 사항
가. 본 학회의『사회과수업연구』에 게재하고자 투고하는 응모원고는 본 요강에 따라 작성․제출되어야 한다.
나. 온라인 논문투고시스템(http://jssls.or.kr/)에서 회원 등록 후(기 가입 회원은 로그인 후) 논문을 투고한다. 단, 외국에서 외국인이 논문을 투고하는 경우에는 학회 학술처로 제출할 수 있다.
다. 논문 투고 시에는 응모 원고와 더불어『사회과 수업연구』투고서 및 저작권 이전 동의서,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연구윤리 준수 서약서, 문헌유사도 검사결과를 첨부하여야 하며, 생명윤리위원회(IRB) 심의를 받은 경우 심의 여부를 표기한다.
라. 응모원고는 사회과수업 및 교재연구, 사회과 교사의 전문성 등 사회과교육과 관련된 내용으로서 독창적이며 미발표된 것이어야 한다. 단, 학위논문 요약본 성격의 논문은 게재하지 않는다.
마. 응모된 원고는 편집위원과 해당분야 심사위원 3인 이상이 심사하며, 심사는 본 회의 편집위원회 규정에 따른다.
바. 논문의 저자가 2인 이상인 경우에는 제1저자(교신저자 포함)와 공동저자를 명확히 구분하여 통보하여야 한다.
사. 참고문헌을 포함한 작성양식이 본 논문 규정에 맞지 않을 경우 수정을 요구하며, 수정에 응하지 않을 경우 논문 게재를 거부할 수 있다.
아. 원고의 분량은 참고문헌을 포함하여 A4(B5)용지 20쪽을 원칙으로 한다. A4(B5)용지 20쪽을 초과한 분량에 대해서는 추가인쇄 쪽 당 1만 원씩의 초과 게재료를 납부하여야 한다.
자. 투고자는 편당 6만 원씩의 심사료를 납부하여야 한다. 논문이 학회지에 게재된 경우에는 일반논문의 경우 25만 원, (외부)기관의 재정지원을 받은 논문의 경우 40만 원의 게재료를 납부하여야 한다.
차. 기본 별쇄본 외에 별쇄본이 추가로 필요한 경우 투고자의 실비 부담을 원칙으로 한다.
2. 작성 양식
가. 투고 원고는 한글 2002 이상의 한컴오피스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으로 작성하고 온라인 논문투고시스템(http://jssls.or.kr/)을 이용하여 제출한다. 투고 원고 프로그램 형태가 상이할 경우 원고 재투고를 요구할 수 있다.
나. 편집용지
1) 용지 종류: A4(폭 210mm, 길이 297mm)
2) 용지 여백: 위쪽(37mm), 아래쪽(38mm), 왼쪽(35mm), 오른쪽(35mm), 머리말(13mm), 꼬리말(12mm), 제본(0mm)
3) 다단: 1단
다. 논문의 문장은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의미를 혼동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 )속에 한자나 원어로 표기한다.
라. 논문 제출자의 성명은 한글, 영문으로 모두 표시하고, 외국인의 인명은 원어 그대로 쓴다.
마. 논문 내용의 요약
1) 국문 요약은 논문제목 다음 부분에, 영문 요약은 참고문헌 뒤에 제시한다.
2) 영문 제목의 각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하고 나머지는 소문자로 쓴다. 영문 이름은 성을 먼저 쓰고 성 다음에 이름을 기입한다.(예: Hong, Gil Dong)
3) 국문 요약 및 영문 요약 모두 16-20줄, 400자 내외의 한 단락으로 작성한다.
4) 국문요약과 영문요약 밑에 주제어((Key Words)를 5개 이내로 제시한다.
5) 연구비를 지원받은 경우에는 첫 페이지 하단 부분에 연구비 지원처를 포함한 지원내역을 명시한다.
바. 논문 편집 기준
구분 | 줄 간격 |
글꼴 | 크기 | 장평 | 자간 | 문단모양 | 행간 (글자크기 10기준) |
속성 | 들여 쓰기 |
내어 쓰기 |
좌우여백 | ||
---|---|---|---|---|---|---|---|---|---|---|---|---|---|
좌 | 우 | ||||||||||||
논문 제목 |
160 |
신명조 |
15 |
95 |
-3 |
가운데 정렬 |
|
진하게 |
0 |
0 ⌢ 각 주 10 ⌣
|
0 ⌢ 요 약, 주 제 어 는 각 각 2 ⌣ |
0 |
|
저자이름 소속기관/직위 |
중고딕 |
11 9 |
오른쪽 정렬 |
진하게 (흐리게) |
|||||||||
요약 내용 |
160 |
신명조 |
9 |
|
|
||||||||
주제어 내용 |
160 |
신명조 |
9 |
|
|
||||||||
본문 |
신명조 |
10 |
|
|
10 |
||||||||
본 문 목 차 |
1단계 Ⅰ,Ⅱ, Ⅲ |
신명조 |
13 |
가운데 정렬 |
위 2행, 아래 1행 비움 |
진하게 |
0 |
||||||
2단계 1, 2, 3 |
중고딕 |
12 |
왼쪽 정렬 (좌측 1칸에서 시작) |
위, 아래 1행 비움 |
|
||||||||
3단계 가, 나, 다 |
신명조 |
11 |
왼쪽 정렬 (좌측 2칸에서 시작) |
위 1행 비움 |
진하게 |
||||||||
4단계 1), 2), 3) |
중고딕 |
10 |
왼쪽 정렬 (좌측 3칸에서 시작) |
|
|
||||||||
5단계 가), 나), 다) |
신명조 |
10 |
왼쪽 정렬 (좌측 4칸에서 시작) |
|
|
||||||||
표, 그림 |
표제목 |
160 |
중고딕 |
9 |
왼쪽 정렬 |
|
|||||||
표내용 |
130 |
신명조 |
|
||||||||||
그림제목 |
160 |
중고딕 |
가운데 정렬 |
||||||||||
인용,각주 |
인용 |
130 |
굴림체 |
|
10 |
10 |
|||||||
각주 |
신명조 |
|
0 |
0 |
|||||||||
참고문헌 |
제목 |
160 |
신명조 |
12 |
가운데 정렬 |
|
진하게 |
||||||
본문 |
150 |
신명조 |
10 |
|
|
||||||||
영문 요약 |
Abstracts |
|
중고딕 |
12 |
가운데 정렬 |
진하게 |
|||||||
제목 |
130 |
신명조 |
16 |
가운데 정렬 |
진하게 |
||||||||
저자이름 |
160 |
신명조 |
11 |
가운데 정렬 |
진하게 |
||||||||
소속 |
130 |
신명조 |
10 |
|
|||||||||
본문 |
150 |
신명조 |
10 |
|
|
10 |
|||||||
키워드 내용 |
신명조 |
10 |
|
|
0 |
* 2줄 띄고 시작: 저자명, 국문요약, 본문목차 1단계, 참고문헌 제목, 영문요약 제목, 영문요약 저자명, 영문요약 본문
** 1줄 띄고 시작: 본문목차 2단계, 본문목차 3단계, 국문요약 키워드, 영문요약 키워드
*** 본문: 새 페이지에서 시작
**** ‘요약’, ‘주제어’, ‘키워드’ 단어(내용이 아님)는 중고딕볼드로 하고, 포인트는 9로 함
3. 문헌 인용방식
가. 문헌 인용방식은 APA방식에 의거하여 작성한다. 단, 본문에 표시하기 어려운 보충적인 내용이나 설명은 각주로 작성하며, 미(후)주는 사용하지 않는다.
나. 참고문헌은 APA방식에 의거하여 작성하되, 여러 나라 문헌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한․중․일․서양 순으로 열거한다.
다. 인용하는 내용이 짧은 경우에는 본문 속에 기술하고, 긴 경우(3행 이상)에는 본문에서 따로 떼어 기술한다. 따로 떼어 기술하는 경우에는 인용부분의 위와 아래를 분문에서 한 줄씩 띄우고, 좌우로 3글자(들여쓰기 10)씩 들여 쓴다.
4. 주석
가. 주석의 사용은 본문 주로 한하며, 본문 주의 규정은 다음에 따른다.
1) 인용하는 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는 경우에는 괄호 속에 발행연도 또는 발행연도와 해당 면을 표시한다.
예 : 이 문제에 대하여 신나라(2013)는/신나라(2013: 25)는
2) 인용하는 저자명이 본문 속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부분 말미에 괄호를 하고 그 속에 저자명과 발행연도를 표시한다. 하나의 사항에 여러 문헌을 인용하는 경우 문헌들 사이를 쌍반점(;)으로 가른다.
예 : 한 연구(신나라, 2013: 23)에 의하면 / 최근의 연구(신나라, 2013: 24; 임꺽정, 2013: 31)에 의하면
3) 저자가 다수일 경우 3인까지는 모두 표시한다. 4인 이상은 첫 번째 저자만 나타내고, 그 다음은 국문·중문·일문의 경우는 ○○○외, 영문의 경우는 ‘et al.’로 나타낸다.
예 : 신나라․임꺽정․홍길동(2013) / 신나라 외(2013) / Parker et al.(2013)
나. 재인용한 문헌의 경우 원저의 저자명을 쓰고 괄호로 묶어 재인용된 연구의 저자명과 재인용 연구의 출판연도를 제시하여 재인용 출처를 밝힌다. 참고문헌에서는 재인용 문헌과 원자료 문헌을 같이 제시한다.
예: 신나라(2010: 임꺽정, 2015에서 재인용)의 연구에서는----
예: ---제시하였다(신나라, 2010: 임꺽정, 2015에서 재인용).
다. 역서 인용의 경우 다음 두 가지 방식 중 투고원고에 적합한 것을 따른다.
1) 역자명을 쓰고 괄호로 묶어 인용된 역서의 출판연도와 해당 쪽수를 표시한다.
예: Hardy, R. J.(신나라 역, 2013: 31)의 연구에서는----
예: ---제시하였다(신나라 역, 2013: 31).
2) 인용하는 역서의 원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는 경우에는 괄호 속에 발행연도 또는 발행연도와 해당 면을 표시한다. 인용하는 원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원저자명을 쓰고 괄호로 묶어 인용된 역서의 원출판연도와 해당 면을 표시한다.
예: Hardy, R. J.(1996: 101)의 연구에서는----
예: ---제시하였다(Hardy, R. J., 1996: 101).
라. 각주는 본문에 표시하기 어려운 보충적인 내용이나 설명에 한하여 사용하고, 단순히 출처나 참고문헌을 밝히는 각주의 사용은 금한다. 각주를 표시하는 위치는 해당문장이나 용어의 말미에 일련번호로 표시하고, 그 내용은 논문 각 쪽의 아래에 제시한다.
5. 참고문헌
가. 논문의 말미에 아래와 같은 요령으로 제시한다. 여러 나라의 문헌을 참고했을 경우 한․중․일․서양 순으로 열거한다. 여기에 예시한 이외의 것은 APA방식을 따른다.
예 : ① 단행본
(예) 신나라(2002). 사회과수업론. 서울: 한국출판사.
(예) Hardy, R. J. (1996). Government in America. Evanston: McDougal Littell.
②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
(예) 신나라(2016). 한국의 사회과 수업동향. 사회과수업연구, 4(1), 31-50.
(예) Gould, P. R. (1981). Integrative Construction of Nation Curriculum. Social Education, 62(3), 31-53.
③ 학위논문
(예) 신나라(2010).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에서 학생 변인에 대한 연구. 한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④ 학술대회 자료
(예)신나라(2017). 사회과수업에서의 갈등해결. 세계수업연구의 방향, 2016년도 한국수업학회 국제학술대회 자료집(pp. 101-120).
⑤ 인터넷 자료
(예) 신나라(2016). 꿈이 있는 교실. http://cyberteacher.com에서 2016.4.16. 인출.
⑥ 보도 자료
참고문헌 하단에 아래와 같이 제시한다.
(예) 나라일보(2016). “자국문화 강요 ‘다문화’는 실패한 정책”(2011.05.30.)
(예) GBS(2020). “다문화가족 포용 대책 여성가족부 브리핑”(2020.12.11.)
나. 국문으로 된 책명, 정기간행물 및 학술지명(권 포함)은 진하게 표시한다. 영문으로 된 책명, 정기간행물 및 학술지명(권 포함)은 이탤릭체로 한다.
다. 영문 단행본과 논문의 제목은 첫 글자만 대문자로 표기하고, 나머지는 모두 소문자로 표기한다(단, 정기간행물의 명칭은 각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한다.).
라. 편저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예) 신나라(2001). 갈등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방안 탐색. 김기수, 신라라(편), 한국사회과 수업방법론(pp. 126-152). 서울: 도서출판 책과 공간.
(예) Parker, S. E. (1969). The nature of social studies. In T. Ocher and K. Beyer(Eds.), Social Education(pp. 55-80). NJ: Prentice-Hall.
마. 역서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예) A. S. Ochoa(1995). 시민교육(신나라 역). 서울: 교육과학사(원출판년도 1989). Citizen education. New York: Guildford Press.
6. 표와 그림
가. 표와 그림에는 일련번호를 붙이고, 표는 < >, 그림은 [ ]과 같은 괄호를 사용한다.
예 : <표 1>, [그림 1]
나. 표의 제목은 상단 왼쪽, 그림의 제목은 하단 중앙에 제시한다.
다. 표의 선은 최상단, 주요 경계, 최하단에만 넣으며, 한 줄로 된 횡선만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7. 요약과 주제어
가. 국문 및 중문, 일문 원고의 경우 영문요약을 작성하고, 주제어(영문요약의 경우 키워드)를 제시한다.
나. 영문원고의 경우 국문요약을 작성하고, 주제어를 제시한다.
부칙
제1조 (시행일)
1. 본 규정은 이사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되는 즉시 효력을 발휘한다.
2. 본 규정은 2016년 11월 04.일부터 시행한다.
3. 본 규정은 2017년 01월 21일부터 시행한다.
4. 본 규정은 2018년 03월 15일부터 시행한다.
5. 본 규정은 2018년 08월 18.일부터 시행한다.
6. 본 규정은 2021년 08월 21일부터 시행한다.
7. 본 규정은 2023년 04월 21일부터 시행한다.
8. 본 규정은 2024년 03월 12일부터 시행한다.